본문 바로가기
책/글쓰기

독서에 도움을 주는 Tool 2. Notion : 모든 생산성 App을 한곳에

by Caferoman 2021. 9. 18.

Notion으로 작성한 독서노트 : 장르, 저자별로 DB화 하고 이를 보기좋게 분류하기에 용이하다.

Notion : Trello, Keep, Slack, Evernote, Excel을 한곳에 모았다

노션에 대한 감상을 한마디로 하면 "내가 한번쯤 써본 생산성 App의 모든 특징을 한곳에 모았다"입니다.

다시 말해 사용하기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생산성 App의 모든 기능을 한 곳에서 쓸 수 있다는 점이 Notion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 Calendar로 활용하는 Notion

첫번째 화면에서 그동안 읽은 책들을 저자/장르/읽은날짜/별점/요약 등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 독서노트를 List로 볼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라면 위 화면은 각 책의 읽은 날짜와 개인적인 평가(별점)를 기준으로 달력의 형식으로 표시한 화면입니다. 일단 자료만 잘 정돈해 두기만 하명 위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구성/표현할 수 있는 점이 Notion이 가지는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Trello를 사용하듯 Kanban Board형식으로도 활용 가능

Kanban Board로 활용하는 Notion

위의 경우는 Notion을 Kanban 보드처럼 활용한 예입니다. 보통 Kanban Board에 있어서 널리 알려진 프로그램으로는 Trello가 있는데요, Trello에서 사용하던 기본적인 Kanban 보드를 활용하는데에 Notion은 큰 무리가 없습니다. 심지어 각 Task 하나하나가 Markdown문법과 첨부파일등을 지원되는 개별 문서로 작성될수 있다는 점은 Kanban 보드에서 분류된 리스트들을 심화적으로 활용할 때에 유용합니다.

 

협업 & 프로젝트 관리 툴로서의 기능도 지원

Slack과 마찬가지로 Notion은 공동 작성이나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Notion을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도록 관련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아직 Notion을 개인적인 자료정리를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여러 사용자가 함께 공동작업을 하는경우 Project의 일정관리라던가 업무 분배, 상호 Comment와 Feedback을 효과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각종 기능을 지원합니다.

 

Notion : Recording Project를 관리하기 위한 작성 예시

저는 복수의 창작물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각 아이템 별 진척현황이라던가 일정, 산출물 등을 한페이지에서 볼수 있도록 정리를 해서 활용하는 식으로 Notion을 활용하곤 했습니다.(최근에는 1일 1포스팅을 하느라 상대적으로 관련작업이 뜸하긴 했는데, 아무튼 다시 곡작업 프로젝트를 재게하게 되면 이전과 마찬가지로 Notion을 이용해 프로젝트 관리를 할 예정입니다.)

 

Notion : Android App에서 열람한 페이지 상세 내용

 

Notion 자체가 Web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보니 Windows,Mac뿐아니라 Android,iOS모두에서 접속이 가능하지만 각 페이지 별 포함하는 내용이 단순 텍스트가 아닌 MarkDown을 지원하면서 또한 여러가지 추가적인 속성 부여가 가능한 만큼 모바일상에서는 편집이 용이하진 않습니다.(아무리 Excel 앱이 좋아져도 휴대폰에서 수정작업을 하기는 어려운 것 처럼요.)

 

총평 : 이미지, 첨부파일을 지원하며 자료의 다방면 활용이 필요하다면 Notion

Text 중심의 심플한 정리가 필요하다면 Workflowy를 추천드립니다. 상대적으로 Notion은 여러가지 기능을 지원하는 대신 검색속도나 Text의 DB화에 있어서 무거운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대신 그만큼 Notion이 가지는 강력한 기능들은 Workflowy에서 사용할 수 없던 이미지와 속성값들을 활용해 데이터를 축적, 다양한 양식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둘 다 유료서비스를 신청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그 사용성을 체험/활용해 볼 수 있으니 입맞에 맞게 다양하게 사용해 보시고 나에게 맞는 Tool을 활용하시면 되겠네요.

반응형

댓글